- 통합 구현
- 송.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 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
- 구성요소
- 송신 시스템.모듈
- 송신 시스템 : 데이터를 생성 및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, 손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
- 송신 모듈 :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변환을 수행
- 수신 시스템.모듈
- 수신 시스템 : 수신 받은 데이터를 정제 및 변환, 수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
- 수신 모듈 : 수신 데이터를 정제하고 DB 테이블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 수행
- 중계 시스템
- 내.외부 시스템 간 연계 시 사용되는 아키텍쳐
- 연계 데이터
- 송.수신 시스템 간 송.수신되는 데이터
- 네트워크
- 송.수신 시스템, 중계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통신망
- 송신 시스템.모듈
- 연계 요구사항 분석
- 연계 데이터를 식별 및 표준화하여 연계 데이터를 정의
-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
-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→ 코드 변환 및 매핑 →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→ 표현 방법 정의 →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
- 연계 매커니즘
- 데이터 생성 및 전송을 담당하는 송신 시스템과 데이터 수신 및 운영 DB 반영을 담당하는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
- 송.수신 시스템 사이에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중계 시스템 설치 가능
- 연계 방식
- 직접 연계 방식
- 중간 매개체 없이 송.수신 시스템이 직업 연계하는 방식
- DB Link, API, JDBC ..
- 간접 연계 방식
- 송.수신 시스템 사이에 중간 매개체를 두어 연계하는 방식
- 연계 솔루션, ESB, 소켓, 웹서비스 ..
- 직접 연계 방식
- 과정
-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→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→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→ 연계 서버 또는 송신 어댑터 → (전송) → 연계 서버 또는 수신 어댑터 →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→ 코드 매핑 및 변환 → 운영 DB에 반영
- 연계 서버 : 데이터를 전송 형식에 맞게 변환하고, 송.수신과 관련된 모든 처리 수행
- 로그 기록 : 송.수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모든 과정과 결과 및 오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
- 연계 장애 및 오류처리
- 주요 오류 발생 시점
- 송신 시스템
- 데이터 생성 및 추출 시
-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시
-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등록 시
- 수신 시스템
- 연계 데이터 로드(load) 시
-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시
- 운영 DB에 반영 시
- 연계 서버
- 연계 데이터 로드(load) 및 전송 형식으로 변환 시
- 연계 데이터 송.수신 시
-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 및 로드(load) 시
- 송신 시스템
- 항목
- 장애 및 오류 관리 대상, 관리 대상의 장애 및 오류 코드와 메세지, 장애 및 오류 코드와 메세지 관리 방식, 장애 및 오류 기록 방식
- 주요 오류 발생 시점
- 연계 데이터 보안
- 전송 구간 보안
- 전송되는 데이터나 패킷을 쉽게 가로챌 수 없도록 암호화 기능이 포함된 프로토콜 사용
- 데이터 보안
- 데이터를 암.복호화
- 전송 구간 보안
- XML
-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
- HTML 문법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와 SGML의 복잡성 해결
- SGML : 멀티미디어 전자문서들을 정보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. 저장 및 자동처리하기 위한 언어
- Tag 정의 가능
- SOAP(Simple Object Access Protocol)
- 네트워크 상에서 HTTP/HTTPS, SMTP 등을 이용하여 XML을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학
- 무거운 SOAP 대신에 RESTful 프로콜을 이용하기도 함
- RESTful 프로토콜 : HTTP와 REST원칙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웹 서비스 API의 집합
- WSDL (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)
-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
- XML로 작성
- UDDI의 기초
- UDDI : 비즈니스 업체 목록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XML 기반의 규격
- 연게 테스트
-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활동
- 순서
- 테스트 케이스 작성 → 테스트 환경 구축 → 테스트 수행 →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
- 순서
-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활동
'정보처리기사_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85 ~ 98 (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~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) (0) | 2022.06.24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70 ~ 84 (개발 환경 구축 ~ 패키지 소프트웨어) (0) | 2022.06.23 |
정보처리기사 47 ~ 63 (시스템 카탈로그 ~ 정렬) (0) | 2022.06.21 |
정보처리기사 31 ~ 46 (데이터 전환 ~ 반정규화) (0) | 2022.06.20 |
정보처리기사 20 ~ 30 (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~ 개발 프레임워크) (0) | 2022.06.18 |